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방 상식(17) 배관마찰손실 수두 및 펌프의 압력설정

by 역발산 2024. 1. 17.
반응형

소방 상식(17) 배관마찰손실 수두 및 펌프의 압력설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관마찰손실 수두

a.직관의 마찰손실

- 물이 배관내를 흐르면 마찰에 의하여 압력 강하가 일어나며 이때 발생하는 손실을 수두로 나타낸 것으로 이는 관경, 유량 및 관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마찰손실을 구하는 이론식은 여러 방법이 있으나 소화설비에서는 Hazen & Williams의 공식을 국제적으로 사용합니다.

b.관 부속 및 밸브류의 마찰손실

- 배관의 각종 관 부속 및 밸브류는 배관 마찰손실과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없으며, 통 부속류 등의 손실은 측정된 손실수두를 배관의 등가길이로 환산하여 적용합니다.

,각종 밸브 및 부속류를 등가길이의 직관으로 변환한 후 직관의 손실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펌프의 압력설정

a.펌프셋팅 기준

★주충압펌프의 기동점은 자연낙차압보다 높아야 합니다.

- 펌프양정이 건물높이보다 작은 경우 언제나 압력챔버 위치에서는 건물높이에 의한 자연낙차압이 작용하므로 압력챔버내의 압력이 펌프양정 이하로 내려갈 수 없기 때문에 절대로 자동기동이 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펌프의 기동점은 당해 건축물의 자연낙차압에 0.2MPa을 가산한 압력(프링클러: 0.15MPa)이하로 저하되었을 때, 기동되도록 해야 합니다.

- 펌프의 정지점은 Range의 설정값으로서, 당해 설비의 양정계산시 산정된 총양정(또는 당해 펌프사양상의 양정값)10:1로 환산한 값으로 설정합니다.

- 일반적으로 주충압펌프의 원활한 기동관계상 주펌프는 충압펌프보다 0.05 MPa 낮게 기동점을 설정하고, 정지는 수동으로 하며, 충압펌프는 주펌프의 기동 범위내에 있도록 설정합니다.

- 충압펌프의 Diff는 최소한 0.1MPa이상이 되도록 하여 잦은 ON/OFF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 펌프의 기동 및 정지순서 : 옥내소화전 2차측배관 감압 압력쳄버 감압 감지 압력스위치 작동 충압펌프 기동 충압펌프 작동에도 불구하고 충압량 부족압력쳄버 감압 지속 주펌프 기동 방출량 과다시 충압펌프 정지(충압펌프는 수동정지 하지 않음) 주펌프 수동정지

b.펌프의 기동점과 정지점

* 충압펌프의 정지점

- 충압펌프는 주펌프 기동점 및 정지점 범위에 있도록 설정합니다.

- 충압펌프의 정지점 : 주펌프기동점 < 충압펌프의 정지점 < 주펌프정지점

- 주펌프보다 0.51/작게 설정합니다.

충압펌프의 기동점은?

- 주펌프 기동점보다 0.5/이상 차이가 나도록 합니다.

- 충압펌프의 기동점 : 주펌프 기동점 + 0.5/이상

주펌프의 기동점은?

- 주펌프의 기동점 : 자연낙차압+K

- K는 옥내소화전일 경우 2/, 스프링클러일때는 1.5/로 합니다.이는 옥내소화전의 방사압 1.7/, 스프링클러의 방사압 1/이므로 방사압력과 배관의 손실을 감안한 값입니다.

주펌프의 정지점은?

- 주펌프의 체절운전점 직전의 값(릴리이프밸브 작동직전)을 설정합니다.


소방 상식(17) 배관마찰손실 수두 및 펌프의 압력설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소방 상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